반응형

한국의 퇴직연금 제도에는 DB형(확정급여형) 과 DC형(확정기여형) 두 가지 주요 형태가 있으며, 추가로 개인이 관리할 수 있는 IRP형이 있습니다.


1. DB형 (확정급여형)

  • 운용 책임: 회사가 적립금을 운용하고 결과에 따라 손익을 감당.
  • 급여 수준: 퇴직 시점의 평균 임금과 근속연수로 정해진 금액을 확정적으로 지급. 예: “최근 3개월 평균임금 × 근속연수 × 30일분” 
  • 특징: 안정성 높으며, 투자 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안정적인 수령을 원하는 이들에게 적합
  • 추천 대상: 임금 상승률이 기대 수익률보다 높고, 장기근속자. 

2. DC형 (확정기여형)

  • 운용 책임: 회사가 매년 지급하는 금액(연봉의 1/12 이상)을 근로자 계좌에 납입하면, 근로자가 직접 운용하여 운용 성과 따라 퇴직급여 결정
  • 급여 수준: “납입금 총액 ± 운용손익”만큼 변동됨
  • 특징: 스스로 운용하여 수익을 노릴 수 있지만, 손실 가능성도 존재. 투자에 자신 있는 사람에게 유리
  • 추천 대상: 투자 역량이 있고, 임금이 낮거나 임금피크 시기에 있는 사람

3. IRP형 (개인형 퇴직연금)

  • 기능: IRP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DB/DC 제도와 달리, 퇴직금이나 퇴직연금 적립금을 개인이 직접 관리할 수 있는 계좌
  • 장점:
    • 이직이나 퇴직 시 IRP로 이전하여 통합 관리 가능
    • 연금 수령 시 세액공제 및 세금우대 혜택 (소득 수준에 따라 분리과세 등)
    • 추가 개인 납입 가능 (예: 최대 연간 1,800만 원)

4. 주요 차이점 요약

항목                                       DB형                                                                         DC형

    

운용 책임 회사 가입자(근로자)
급여 확정 여부 확정 (평균임금×근속연수) 변동 (납입금 ± 수익/손실)
안정성 높음 운용 역량에 따라 변동
추천 그룹 장기근속 & 임금상승 기대자 투자 선호 & 임금 정체자
 

5. 선택 팁

  • 임금상승률 > 기대수익률DB형 유리
  • 기대수익률 > 임금상승률DC형이 더 유리할 수 있음
  • 임금피크나 급여 하락 예상 시, DC형 전환 고려 가능
  • DB→DC 전환은 가능한 경우가 있지만, DC→DB는 불가능하므로 신중한 판단 필요

6. 내게 맞는 선택은?

  • 안정성과 손쉬운 혜택을 원한다면 DB형
  • 적극적인 운용을 통한 추가 수익을 원한다면 DC형
  • 이직이 잦고, 통합 계좌로 세금 혜택도 누리고 싶다면 IRP 활용이 좋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그렇지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