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진-그렇지형

ELD(주가연계예금, Equity-Linked Deposit) 수익률 개념

**ELD(주가연계예금)**는 은행에서 판매하는 파생금융상품으로, 예금 원금은 보장되면서 주가지수(KOSPI 200 등)나 특정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는 상품이야.

ELD 수익률 구조

ELD의 수익률은 일반 정기예금과 달리, 기본금리는 없고 투자한 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이 결정돼.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어:

  1. 상승형(콜옵션 구조)
    • 기초자산(예: KOSPI 200)이 일정 기준 이상 오르면 약정된 비율의 수익 지급
    • 하지만 지수가 하락해도 원금은 보장됨
    • 예: "만기 시 KOSPI 200이 10% 이상 오르면 5% 수익 지급, 하락해도 원금 보장"
  2. 범위형(양방향 구조, 녹아웃 조건 포함 가능)
    • 주가지수가 일정 범위(예: -5% ~ +5%) 내에서 움직이면 고정 수익 지급
    • 하지만 특정 구간을 벗어나면 수익이 줄거나 0이 될 수도 있음
  3. 낙아웃형(Barrier형)
    • 특정 수준 이상 주가가 상승하면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수익이 없어짐(낙아웃)

ELD 수익률 계산 예시

예를 들어, 1년 만기 ELD 상품이 다음과 같은 구조라고 하자.

  • 원금 보장
  • KOSPI 200이 1년 후 10% 이상 상승하면 5% 이자 지급
  • KOSPI 200이 10% 미만 상승하거나 하락하면 이자 없음

📌 시나리오별 수익률

KOSPI 200 변동률지급 이자최종 수익률

+12% 상승 5% 105% (원금+이자)
+8% 상승 0% 100% (원금 유지)
-3% 하락 0% 100% (원금 유지)

ELD의 장점 & 단점

장점

  • 원금이 보장되므로 안정적
  • 정기예금보다 높은 수익률 가능

단점

  • 기대했던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있음
  • 금리가 낮은 시장에서는 ELD의 기대수익률도 낮아질 수 있음
  • 중도 해지 시 불이익(예금자 보호가 안 될 수도 있음)

ELD 투자 시 유의할 점

  • 수익 조건을 꼼꼼히 확인 (어떤 상황에서 수익이 발생하는지)
  • 예금자 보호 여부 (상품마다 다름)
  • 기초자산의 변동성 고려 (주가지수가 안정적이면 기대수익이 낮아질 수도 있음)

📌 주의:
ELD는 예금처럼 원금을 보장받으면서도 주가지수의 상승에 따라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하지만 주가가 기대만큼 오르지 않으면 수익을 거의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그렇지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