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우 속터져.. 무자식이 상팔자네요.. 금쪽이는 진짜. 아우  매일매일 스트레스입니다.

 

그렇다고 때리면 아동학대로 아들이 신고할거같고 그냥 두자니 열받고...

막말하는 우리아이 어떻게 해야 하나?

 

1.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기

아들이 막말을 하면 화가 날 수 있지만, 바로 감정적으로 반응하면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네가 그렇게 말하니까 엄마 마음이 너무 아프다."
"엄마한테 그런 식으로 말하면 안 돼."
이렇게 감정을 차분하게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아들의 감정을 이해해 주기

사춘기 아이들은 감정 기복이 심하고, 작은 일에도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지금 많이 화가 났구나. 그런데 그렇게 말하면 엄마가 속상해."
"엄마도 바쁘고 깜빡할 때가 있어. 하지만 그렇다고 치매라고 하면 안 되지."
이렇게 아들의 감정을 인정해 주면서도, 말의 문제점을 짚어줘야 합니다.

3. 말의 무게를 깨닫게 하기

아이가 막말을 하는 것이 습관이 되면 점점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엄마한테 그런 말을 하면, 엄마가 정말 슬프고 힘들어."
"사람은 말로 상처를 주기도 하고, 기분 좋게 만들 수도 있어. 네 말 한마디가 엄마한테 얼마나 상처가 되는지 생각해 봤으면 좋겠어."
이렇게 말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4. 문제 해결 방법 가르치기

아이가 짜증이 날 때 어떻게 하면 더 좋은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알려줘야 합니다.
"엄마가 깜빡한 것 같으면, 그냥 '엄마, 이거 아직 안 했어'라고 말해 줘."
"화가 났을 때는 어떻게 말하는 게 좋을까? 다시 한 번 말해볼래?"
이렇게 하면 아이가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5. 막말에는 반드시 대응하기

아이가 계속 막말을 하는데도 그냥 넘어가면, 잘못된 행동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엄마한테 그렇게 말하면 안 된다고 했지? 다시 한 번 말해 봐."
"이렇게 말하지 않으면 네 말을 들어주기 어려워."
"만약에 네가 나중에 자녀를 낳았는데, 네 자식이 너한테 그렇게 말하면 기분이 어떨 것 같아?"
이런 식으로 아이가 자신의 행동을 돌아볼 기회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6. 필요하면 강한 태도 보이기

만약 아이가 계속해서 버릇없이 말한다면, 단호한 태도를 보일 필요가 있습니다.
"엄마한테 그렇게 말하면 너랑 대화를 안 할 거야."
"무례한 말에는 응답하지 않을 거야. 네가 예의 있게 말하면 다시 이야기해 줄게."

7. 꾸준한 대화와 애정 표현하기

아이가 사춘기에 접어들면, 부모와의 관계가 소원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도 결국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원합니다. 평소에 대화를 많이 나누고, 아이가 존중받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면, 막말하는 습관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엄마가 너한테 실수할 수도 있지만, 널 사랑하는 마음은 변함없어."
"네가 엄마한테 예의 있게 말하면, 엄마도 네 이야기를 더 잘 들어줄 수 있어."

반응형
Posted by 그렇지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