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미 FTA 알아보자.
한미 자유무역협정(KORUS FTA, Korea–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
🔹 한미 FTA란?
**한미 자유무역협정(KORUS FTA, Korea–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은 한국과 미국 사이의 **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상품·서비스 교역의 장벽을 낮추고, 투자 보호와 지식재산권 강화 등을 목적으로 체결된 포괄적인 경제 협정이야.
📜 체결 과정과 역사
연도주요 내용
2006.6 | 협상 개시 |
2007.4.2 | 협상 타결 |
2007.6.30 | 정식 서명 |
2011.10 (미국) | 미국 의회 비준 |
2011.11 (한국) | 한국 국회 비준 (찬반 갈등 심했음) |
2012.3.15 | 협정 발효 |
2018.9.24 | 개정 협정 서명 |
2019.1.1 | 개정 협정 발효 |
🔍 주요 내용 정리
1. 상품 교역
- 자동차: 미국산 자동차 수입 기준 완화
- 농산물: 한국은 미국산 쇠고기, 오렌지, 포도 등에 대해 단계적으로 관세 철폐
- 산업재: 양국 산업재 대부분에 대해 관세 철폐 (예: 기계류, 철강, 전자제품 등)
2. 서비스 무역
- 금융 서비스: 미국 금융기관의 한국 진출 기회 확대
- 통신: 통신 시장 개방, 미국 기업이 한국 통신사업자에 투자 가능
- 법률, 의료: 일부 전문직 서비스 시장도 점진적으로 개방
3. 투자
- 투자자-국가 분쟁 해결(ISDS) 조항 포함
- 외국인 투자자가 자국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가능
- 한국에선 이 조항에 대한 비판 많았음 (국가 주권 침해 우려)
4. 지식재산권
- 특허 보호 기간 연장
- 저작권 보호 기간 50년 → 70년으로 연장
- 디지털 콘텐츠 및 소프트웨어의 불법복제 단속 강화
5. 무역구제 조치
- 세이프가드: 수입 급증으로 산업 피해 시 일시적 보호 가능
- 반덤핑/상계관세 제도 존중
6. 환경 및 노동
- 환경 보호와 노동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규정 포함
- 국제노동기구(ILO) 핵심 협약 준수 요구
🔧 개정된 내용 (2018년 재협상)
트럼프 정부 요청으로 2018년 재협상 → 몇 가지 핵심 조항이 바뀜:
- 자동차
- 미국산 차량 수출 기준 완화 (미국 규격 차량 더 많이 허용)
- 안전기준 검사 완화
- 철강
- 한국 철강 수출 쿼터제 도입 (양국 간 합의)
- 의약품
- 제네릭 의약품 허가 지연 방지 조항 강화
📈 경제적 영향
✔ 긍정적 측면
- 한국의 수출 증가: 특히 자동차, 전자, 기계류 중심
- 소비자 혜택: 다양한 미국 제품(오렌지, 체리, 와인 등) 가격 인하
- 서비스 경쟁력 강화: 특히 금융, IT 등
❗ 부정적 측면
- 농업 피해 우려: 일부 농축산물 산업은 경쟁력 약화
- ISDS 조항 논란: 다국적 기업이 정부를 제소해 국가정책 위축 가능성
- 노동시장 우려: 국내 일자리 일부 감소 가능성 제기
🧠 비판과 논쟁
- 찬성 측: 글로벌 경쟁력 확보, 수출 증진, 투자 유치
- 반대 측: 중소기업 피해, 농업 붕괴 우려, 법·제도 주권 침해
특히 비준 당시(2011년)는 국회에서 최루탄 투척, 몸싸움 등 격렬한 충돌이 있었을 만큼 뜨거운 이슈였지.
🤝 현재 상황 (2025년 기준)
- 한미 FTA는 양국 교역의 약 35%를 차지할 만큼 큰 비중을 갖고 있음.
- 디지털 무역, 탄소 배출, 공급망 안정성 등 새로운 이슈 중심으로 FTA의 2차 개정 논의가 일부 진행 중.
- 미국은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로 공급망 재편을 꾀하고 있으며, 한국도 여기에 적극 참여하고 있음.
반응형
'AI물어보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두꽃 꽃말이 뭐지? Plum blossom (0) | 2025.04.05 |
---|---|
좋은글 모음, 인생조언 20가지 (0) | 2025.04.05 |
4월 5일자,틱톡 매각과 핸즈오프 시위,FED 금리 인하 거부 (0) | 2025.04.05 |
4월5일자 금 1돈 얼마?, 금 시세,WTI 시세,은 시세,구리 시세,대두 시세 (0) | 2025.04.05 |
검은 금요일,미국 주식시장 급락 그 원인은? (1)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