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산호수공원 - 아시아 최대 규모의 인공호수공원
일산호수공원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치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인공호수공원입니다.
아래에 생성 배경, 목적, 주요 특징을 정리해 드릴게요.
🌱 조성배경과 목적
- 일산신도시 개발과 연계된 근린공원
1990년대 초 서울의 주택난 완화를 위해 계획된 위성도시 ‘일산신도시’ 조성의 일환으로, 1992년 12월~1995년 12월까지 약 3년간 진행된 택지 개발사업에 포함되어 추진되었습니다1 - 자연생태 공간 재현 목적
당시 이상희 전 건설부 장관의 발안 아래 최원만 대표(당시 설계자)가 설계한 환경친화형 공원으로, 기존에 없던 인공 수로와 30만㎡ 규모의 호수를 중심으로 ‘도심 속 자연생태계’ 구현을 목표로 삼았습니다1
🏗️ 조성 기간 및 주요 구조
- 조성기간: 1992년 12월 착공, 1995년 12월 준공, 1996년 5월 4일 공식 개장1
- 공원 규모
- 전체 면적: 약 1,034,000㎡
- 호수 면적: 약 300,000㎡ (저수용량 453,000㎥)
🎨 설계 및 운영 주체
- 주체: 한국토지공사(KLC; 현재의 LH공사)와 고양시가 협력 추진 .
- 설계: 최원만 대표의 설계안 기반, 이상희 전 장관이 아이디어를 제안.
🎯 주요 시설 및 기능
- 인공호수 및 달맞이섬
- 호수가 중심, 중앙에 ‘달맞이섬(Dalmaji Island)’과 연꽃정자 ‘월파정’ 설치.
- 양쪽에 교량이 연결되어 풍경 감상용 산책로 제공.
- 산책 및 자전거 인프라
- 메타세쿼이아길 등 총 9.1km 산책로
- 호수 주변 4.7km 자전거 전용도로 .
- 문화·생태 시설 다양성
- 꽃전시관, 선인장 전시관, 화장실문화전시관, 조각공원, 작은 동물원, 음악 분수대 등 포함.
- 이벤트·축제 공간
- 고양국제꽃박람회, 가을꽃축제, 호수꽃빛축제 등이 매년 개최되는 대표 행사 장소.
🏅 역사적 의미 및 영향
- 공원 비즈니스 모델 창출
개장 당시 아파트 대신 공원 조성을 우려하는 의견이 있었으나, 이후 전국적으로 유사 호수공원 사업이 확산되며 ‘모범 사례’로 자리 잡았습니다. - 도심 생태 및 문화 공간의 전형
원활한 자연 모방과 다양한 휴식·문화 기능 제공으로 ‘도심 속 힐링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반응형
'AI물어보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일에 미역국을 먹는 이유는? (0) | 2025.06.30 |
---|---|
러브버그 특성,러브버그 알고보니 파리과에 속하는 곤충이였네 (0) | 2025.06.30 |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1호 부동산정책 구체적인 내용 살펴보자. (1) | 2025.06.28 |
문명 쿠폰 4종류 "문명하셨습니다." (0) | 2025.06.26 |
지하철 기본요금 인상,6월28일부터 지하철 요금 1550원 (0)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