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장생활 X 바둑: "사활(死活), 살려야 한다 vs. 포기해야 한다?"

 

[회사 사무실]

 

📌 상황: 우리 팀이 진행하는 프로젝트 중 한 부분이 예상보다 진행이 늦어지고 있다. 일정상 전체 프로젝트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상황.

민기:
“팀장님, 이번 데이터 분석 작업이 예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려요. 원래 계획대로 하려면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지훈 팀장:
“흠… 이거 사활 문제네.”

유진:
“사활이요? 혹시… 바둑에서 돌이 죽느냐 사느냐 하는 그 사활(死活) 맞죠?”

지훈 팀장:
“맞아. 지금 이 작업이 우리 프로젝트에서 꼭 살려야 할 부분인지, 아니면 과감히 포기하고 다른 방식으로 가야 할지 결정해야 해.”

민기:
“그럼 이걸 무리해서라도 살려야 할까요?”

지훈 팀장:
“바둑에서도 사활을 잘못 판단하면 괜히 돌을 살리려고 애쓰다가 전체 판세를 망칠 수도 있어. 이 작업이 정말 중요한 핵심인가?”

유진:
“음… 분석이 있으면 좋긴 한데, 다른 방식으로 대체 가능하긴 해요. 기존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방향을 바꾸면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어요.”

지훈 팀장:
“그럼 굳이 이 부분을 살리는 데 집중하기보다, 빠르게 대안을 찾는 게 맞겠네. 괜히 ‘살리려는 욕심’ 때문에 시간을 더 낭비하면 안 돼.”

민기:
“그렇네요. 바둑에서도 괜히 죽을 돌을 살리려다가 더 큰 손해를 볼 수도 있죠.”

지훈 팀장:
“맞아. 가끔은 포기가 더 나은 선택일 수도 있어. 그러니까 이 부분은 과감히 정리하고, 대신 다른 강점을 더 살려서 프로젝트 완성도를 높이자.”


 

📌 바둑 용어: 사활(死活)

  • 사활(死活): 돌이 살 수 있는지(活), 아니면 결국 죽는지(死)를 판단하는 것.
  • 괜히 죽을 돌을 살리려다 더 큰 피해를 볼 수도 있고, 때로는 포기하는 것이 전체 판을 위해 나은 선택일 수도 있다.

💡 직장생활 적용법: 모든 일을 끝까지 붙잡고 가려고 하면 전체 프로젝트가 망가질 수 있다. 정말 중요한 핵심인지 판단하고, 필요하면 과감히 포기하는 것도 전략이다.

반응형
Posted by 그렇지형
,